로고

DNS (Domain Name System) DeepDive - 레지스트리, 레지스트라

develop / Jun 28, 2025

DNS (Domain Name System) DeepDive - 레지스트리, 레지스트라

develop /
... views
With AI

The Internet is for Everyone

Intro

지난 글에서 DNS의 배경과 시스템 그리고 도메인 이름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메인 이름과 DNS를 원활히 동작하게 하기 위한 도메인 이름의 등록 관리 구조와 관리 체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지스트리란?

인터넷은 전체를 하나의 기관이 집중 관리하지 않는 분산 관리가 기본입니다. 그러나 인터넷에 연결된 호스트를 식별하기 위한 IP 주소나 도메인 이름과 같은 식별자는 예외적으로, 일원화된 관리를 해야 합니다. 그러한 일을 하는 조직을 레지스트리(registry) 라고 합니다.

레지스트리와 레지스트리 오퍼레이터

“레지스트리”라는 용어는 아래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됩니다.

  1. 식별자를 할당하고 등록 관리를 하는 레지스트리 오퍼레이터
  2. 레지스트리 오퍼레이터가 취급하는 등록대장인 레지스트리 데이터베이스.

이 글에서는 1. 의 ‘레지스트리 오퍼레이터’를 레지스트리라고 지칭합니다.

IP 주소와 도메인 이름 간 관리의 차이

IP주소와 도메인 이름은 각각의 특징으로 인해 할당 및 등록 관리에 대한 처리가 다릅니다. IP 주소는 한정된 자원을 인터넷 전체에서 공유하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일관성 있는 관리를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IP 주소 레지스트리는 규칙을 정하거나 레지스트리 간의 조정을 담당합니다. 반면, 도메인 이름은 하나의 네임 스페이스를 TLD마다 분할하고, 각 TLD의 특색에 맞게 운영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집니다.

레지스트리의 역할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레지스트리에게 등록 신청을 해야합니다. 이후 신청을 접수한 레지스트리는 그 내용이 등록 요건에 부합하는지를 심사 및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합니다.

레스트리의 주된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레지스트리 데이터베이스의 운용 관리
    • 도메인 이름을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개인의 이름, 조직명, 연락처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트리 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합니다.
  2. 정책에 따른 등록 규칙의 제정
    • 레지스트리는 자신이 등록 관리하는 도메인 이름의 정책을 정합니다. 그리고 그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등록 규칙을 정하고 이용자에게 알립니다.
  3. 등록 신청 접수
    • 레지스트리는 등록자로부터 도메인 이름의 등록 신청을 접수합니다. 신청된 도메인 이름을 규칙에 따라 심사하고 접수한 정보를 레지스트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합니다.
  4. Whois 서비스 제공
    • 레지스트리는 자신이 관리하는 도메인 이름의 정보를 Whois서비스로 제공합니다.
  5. 네임서버 운용
    • 관리하는 도메인들을 인터넷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네임 서버를 관리 및 운용합니다.

레지스트리와 TLD의 관계

TLD(Top Level Domain)마다 레지스트리가 존재하며, 각 레지스트리 TLD를 관리하고 관리 정책이나 등록 규칙을 정합니다.

TLD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뉩니다.

  1. 국가나 지역마다 할당되는 도메인 ccTLD(Country Code Top Level Domain)
    • ex) .kr, .jp, .cn
  2. 국가나 지역에 상관없는 도메인 gTLD(Generic Top Level Domain)
    • ex) .com, .net, .org

레지스트리⋅레지스트라 모델과 레지스트라의 역할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도메인 이름을 관리하는 레지스트리의 레지스트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야 합니다.

오늘날 주요한 TLD(.com/.net/.kr)는 레지스트리⋅레지스트라 모델(registry⋅registrar model) 을 등록 구조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레지스트리⋅레지스트라 모델

레지스트리⋅레지스트라 모델은 도메인 이름의 등록 관리를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역할을 분리하고 있습니다.

image-107.webp

이렇게 역할을 분리하는 이유는 등록될 도메인의 이름을 고유하게 하면서 가격과 서비스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래서 하나의 TLD에 대해서 레지스트리는 하나이지만 레지스트라는 여럿이 존재합니다.

image-110.webp

각 레지스트라는 다양한 서비스를 등록자에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레지스트라는 독자적인 서비스나 가격 설정이 가능하고, 등록자는 자신에게 맞는 레지스트라를 고를 수 있습니다.

국내에는 가비아, 호스팅케이알등이 레지스트라 서비스의 예시입니다.

레지스트라의 역할

  1. 등록자로부터 등록 신청 접수
  2. 레지스트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의뢰
  3. whois 서비스 제공
  4. 등록자 정보 관리

도메인 이름 등록하기

레지스트리⋅레지스트라 모델에서 도메인 이름을 등록하는 흐름을 살펴보겠습니다.

image-108.webp

신청자는 도메인 이름이 등록 가능한지 whois서비스를 통해 확인하고 도메인 이름을 신청할 사업자를 선택합니다. 가격이나 서비스 내용을 비교하고 마음에 드는 사업자를 선택합니다. 이후, 레지스트라에게 제출해야 할 정보를 준비합니다. 이런 준비를 마친 이후 레지스트라에게 도메인 이름의 등록을 신청합니다.

레지스트라는 신청 내용을 확인하고 레지스트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기 위한 신청을 레지스트리에게 제출합니다.

레지스트리는 레지스트라로부터 받은 신청이 타당한지 확인하고 등록 요건을 충족한다면,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등록합니다. 이후 레지스트라에게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립니다. 알림을 받은 레지스트라는 사용자에게 도메인 이름이 등록완료되었음을 알립니다.

도메인 이름 사용하기

위에서 사용자는 도메인 이름을 등록했습니다. 그러나 등록만 해서는 도메인 이름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도메인 이름을 가진 웹사이트에 웹 브라우저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게 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준비가 필요합니다.

첫째, 그 도메인 이름을 인터넷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 즉 DNS 정보를 관리하는 네임 서버를 등록해야 합니다. 네임 서버는 직접 구축하거나 cloudflare같은 외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네임 서버는 인터넷의 어디에서라도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둘째, 처음에 구축한 네임 서버에 도메인 이름의 정보를 설정합니다. 만약 등록한 도메인 이름이 jinmu.me라면 jinmu.me의 IP 주소는 76.76.21.21이라는 정보가 네임 서버에 설정됩니다.

마지막은 이렇게 등록한 정보를 기반으로 네임 서버가 인터넷에서 온 질문에 대해 대답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jinmu.me의 IP주소는? 이라는 질문에 대해 76.76.21.21이라고 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레지스트리가 하는 일

레지스트리는 네임 서버 정보를 레지스트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레지스트리가 관리하는 네임 서버에 그 정보를 설정합니다. jinmu.me의 정보를 담고 있는 네임 서버 정보를 레지스트리가 관리하는 ME 존의 네임 서버에 설정합니다. 부모(me)에게 자식(jinmu.me)의 네임 서버 정보가 설정되어 레지스트리와 등록자의 관계는 DNS에서 말하는 부모-자식 관계가 됩니다.

위의 절차를 완료하면 실제로 웹 서버를 구축해 그 도메인 이름(jinmu.me)을 가진 웹사이트에 실제로 접근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image-112.webp

Outro

이번 글에서는 도메인 이름이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등록 및 관리 구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인터넷 식별자를 일원화하여 관리하는 레지스트리의 역할부터, 사용자가 도메인을 등록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레지스트라의 기능까지 살펴보았죠. 특히 오늘날 대부분의 TLD가 채택하고 있는 레지스트리-레지스트라 모델이 어떻게 도메인 이름의 안정적인 관리와 서비스 및 가격 경쟁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지, 그리고 실제 도메인 등록 절차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확인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단순히 도메인을 등록하는 것을 넘어 네임 서버를 설정하고 부모 도메인에 해당 정보가 등록되어야만 비로소 인터넷에서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는 점도 짚어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렇게 등록되고 설정된 도메인 이름을 어떻게 우리의 컴퓨터가 찾아가는지, 즉 ‘DNS 이름 풀이(Name Resolution)’ 과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또한, 이 거대한 시스템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원리인 ‘위임(Delegation)’ 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도 설명합니다.

감사합니다.

...